네트워크 관련 sysctl

# 연결 지향 tcp 는 데이터를 주고 받기전 우선 연결된다.
# 리슨을 위해 바인딩된 포트 열어 놓는 쪽은 passive open으로 서버가 되고,
# 연결을 요청하는 쪽은 active open으로 클라가 된다.
# tcp 종료 과정은 다음과 같다.
# 그림 출처 : 위키피디아 https://en.wikipedia.org/wiki/Transmission_Control_Protocol


# sysctl 은 런타임시에 커널의 파리미터를 설정하는 명령어다.
# /etc/sysctl.conf 파일로도 설정할 수 있다.
# /proc/sys/net/ipv4 에 파일 수정으로 설정할 수 있다.
https://www.kernel.org/doc/Documentation/networking/ip-sysctl.txt
http://lxr.linux.no/linux+v3.2.8/Documentation/networking/ip-sysctl.txt
# 이중 net.ipv4 로 시작하는 tcp 제어 설정에서 중요한 몇개를 살펴 보자.

# 로컬 포트가 고갈되는 경우
# TIME_WAIT(fin을 받고 서버에 ack 보내고 일정 시간 기다리는 상태)의 소켓들을 재사용할지 여부
# 0 : 비활성화
# 1 : 활성화 (보통 1로 사용)
# 2 : loopback 에서만 활성화
net.ipv4.tcp_tw_reuse = 1

# FIN_WAIT_2(서버쪽 close 중임을 클라에게 알리는 ack 를 받았을때의 클라 상태)이후
# last_ack 를 받지 못했을때 대기시간으로 디폴트 60초이다.
# 참고로 TIME_WAIT 의 타임아웃은 커널소스에 60초로 하드 코딩되어 있다.
# /usr/src/kernels/3.10.0-957.1.3.el7.x86_64.debug/include/net/tcp.h
# #define TCP_TIMEWAIT_LEN (60*HZ)
net.ipv4.tcp_fin_timeout = 60

# 로컬 포트 사용(허용) 범위
net.ipv4.ip_local_port_range = 23768 60999

# tcp_tw_use 처럼 TIME_WAIT 상태의 소켓을 재사용(recycle)할지 여부
# 디폴트는 비활성화
# 여러 문제가 발생될 소지가 있어 최근 리눅스 4.12 에서는 제거되었다고 한다.
https://vincent.bernat.ch/en/blog/2014-tcp-time-wait-state-linux
net.ipv4.tcp_tw_recycle = 0

comments:

댓글 쓰기